포근한 봄 날씨가 지속되면서 야외 운동을 시작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겨우내 운동을 쉬다가 갑작스럽게 무리한 움직임을 하면 근육과 관절에 무리를 줄 수 있다. 특히 어깨 관절을 둘러싼 근육과 힘줄에 손상이 생기는 ‘회전근개파열’이 발생할 위험이 커지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회전근개는 어깨관절 주위를 감싸고 있는 네 개의 근육(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소원근)과 힘줄을 뜻한다. 이 근육들은 어깨의 회전과 안정성을 담당하는데, 갑작스럽게 무리한 힘이 가해지거나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손상이 누적되면 회전근개가 찢어지는 ‘회전근개파열’이 발생할 수 있다.

회전근개파열이 발생하면 팔을 들어 올릴 때 통증이 심하게 나타나며, 증상이 진행될수록 팔을 움직이지 않아도 통증이 지속될 수 있다. 특히 야간에 통증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아 숙면을 방해하고 일상생활에도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팔을 들 때 삐걱거리는 소리가 나거나, 팔을 올리기가 어려워지는 증상도 동반될 수 있다.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증상이 점점 악화될 수 있어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윤용상 목동 고려탑통증의학과 원장
윤용상 목동 고려탑통증의학과 원장
초기에는 비수술적인 치료로도 증상 완화를 기대할 수 있다. 대표적인 치료법으로는 주사치료, 체외충격파 치료, 도수치료 등이 있다. 체외충격파 치료는 손상된 부위에 강한 에너지의 충격파를 전달해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조직 재생을 돕는 방식으로, 어깨 힘줄과 인대 손상을 회복하는 데 효과적이다. 도수치료는 치료사가 손을 이용해 근육과 관절을 부드럽게 조정해 통증을 완화하고 신체 정렬을 바로잡는 방법으로, 근육과 인대의 긴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회전근개파열 치료 후에는 어깨 근력을 회복하기 위한 재활운동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통증을 완화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어깨의 정상적인 기능을 되찾기 위해 단계적인 운동이 필요하다. 무리한 힘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점진적으로 근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며, 어깨의 가동 범위를 서서히 늘려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부상을 예방하는 것이다. 운동 전후로 충분한 스트레칭을 통해 어깨 관절과 주변 근육을 이완시키고, 어깨에 부담을 줄 수 있는 동작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일상생활에서도 무거운 물건을 들 때 팔과 어깨에 과도한 힘이 실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봄철 야외 활동이 증가하는 만큼, 갑작스러운 운동으로 인한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 자신의 몸 상태를 충분히 고려하고 적절한 준비운동을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만약 어깨 통증이 지속된다면 가벼운 통증이라도 방치하지 말고 체계적인 진료를 통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 : 윤용상 목동 고려탑통증의학과 원장)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