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형광 마우스 모델 사용해 신경줄기세포가 재발암 형성에 중요한 역할 한다는 사실 확인
신경줄기세포와 종양 재구성 기전 규명... 이를 차단하면 생존율 60-70% 향상 입증

이주호 서울대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교수팀(제1저자 리슈에 박사), 강석구 연세암병원 신경외과 교수팀, 이정호 한국과학기술원 교수팀으로 구성된 공동 연구팀은 유전체 분석과 마우스 모델을 사용해 재발암이 단순히 잔여 암조직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멀리 떨어진 신경줄기세포에서 유래할 수 있다는 가설을 실험적으로 증명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팀은 교모세포종 환자 10명에서 초발암과 재발암의 유전체 계통 관계를 분석한 결과, 60%의 환자에서 재발암이 초발암과 유전적으로 단절돼 있으며, 대신 재발암이 뇌실하지역 신경줄기세포와 연결돼 있다는 중요한 사실을 발견했다. 이러한 발견은 신경줄기세포가 재발암의 기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중요한 단서다.

연구팀은 추가적으로 CXCR4/CXCL12 경로가 신경줄기세포의 이동을 유도하고 종양 재구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CXCL12 신호 분자는 수술 절제 부위의 혈관내피세포에서 분비돼 CXCR4 수용체와 결합해 신경줄기세포를 수술 부위로 끌어당기고 이동을 유도하는 기전을 마우스 실험을 통해 규명했다. 연구팀은 이 기전을 차단함으로써 재발률을 감소시키고 생존율을 60-70% 향상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이 발견은 CXCR4/CXCL12를 타깃으로 하는 치료법이 교모세포종의 재발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