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은 2024년 결핵환자 수가 1만7944명으로 전년 대비 8.2% 감소했다고 24일 발표했다. 이는 2000년 국가 결핵 감시체계 구축 이후 2011년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연평균 7.6%씩 감소하며 지난 13년간 64.5% 줄어든 수치다.

2024년 결핵환자 중 65세 이상 고령자는 1만534명으로 전체 환자의 58.7%를 차지하며, 매년 증가 추세를 보였다. 65세 이상 환자는 인구 10만 명당 105.8명으로, 65세 미만 환자보다 약 6배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또한, 외국인 결핵환자는 1077명으로 전년(1107명) 대비 2.7% 감소했으나, 전체 환자 중 외국인 비율은 6.0%로 증가했다.

결핵환자 유형별로 살펴보면, 전체 환자 중 폐결핵 환자는 1만495명(78.5%)이며, 폐외결핵 환자는 3849명(21.5%)으로 나타났다. 다제내성 결핵환자는 461명으로 전년(551명) 대비 16.3% 감소했다.

지난해 결핵환자 수는 8.2% 감소한 1만7944명으로, 고령층과 외국인 환자 비중이 증가하며, 질병관리청은 결핵 예방과 관리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클립아트코리아)
지난해 결핵환자 수는 8.2% 감소한 1만7944명으로, 고령층과 외국인 환자 비중이 증가하며, 질병관리청은 결핵 예방과 관리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클립아트코리아)
질병관리청은 결핵 환자 관리와 예방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고령층 및 외국인 환자의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결핵 검진을 강화하고 있으며, '찾아가는 결핵검진사업'을 통해 2024년 약 18.7만 건의 검진을 실시, 133명의 결핵환자를 조기에 발견하여 전파를 차단했다. 또, 결핵 환자 맞춤형 통합관리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진단부터 치료까지 빈틈없는 관리 체계를 구축했다.

한편, 질병관리청은 결핵 퇴치를 위한 연구도 강화하고 있으며, 다제내성 결핵의 조기 발견을 위한 신속·동시 진단 기술과 결핵 고위험군 발병 예측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다. 또한, 결핵 후유증을 분석하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

질병관리청은 결핵 예방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65세 이상 고령자에게 매년 1회 결핵 검진을 받도록 권장하고 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