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대 정원 활용해 연 49명 양성 목표… 공공의대법 제정 총력 대응

전북자치도가 지역 내 의료 불균형 해소와 필수의료 인력 확충을 위한 핵심 대안으로 공공의대 설립 논의를 본격화하고 있다. 최근 공공의대법 제정에 대한 정치권 내 논의가 재점화되면서 전북의 숙원 사업인 ‘공공의대 설립’이 다시 수면 위로 부상했다.

전북자치도가 지역 내 의료 불균형 해소와 필수의료 인력 확충을 위한 핵심 대안으로 공공의대 설립 논의를 본격화하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 제공)
전북자치도가 지역 내 의료 불균형 해소와 필수의료 인력 확충을 위한 핵심 대안으로 공공의대 설립 논의를 본격화하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 제공)

전북자치도는 2018년 폐교된 서남대학교 의대 정원을 활용해 남원 지역에 공공의대를 설립하고, 이를 통해 매년 49명의 공공의료 인력을 양성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는 기존 의대 정원 확대와 무관하게, 의료 취약 지역에 실질적인 의료 인력을 공급하기 위한 구조적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동안 20·21대 국회에서는 관련 법안의 제정이 무산됐고, 22대 국회에서는 의료계 반발과 의정 갈등으로 인해 법안 심사가 장기 표류 중인 상황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공공의대법 제정 필요성이 재차 부각되며 논의에 활기를 띠고 있다.

이에 따라 전북자치도는 지역 정치권과 협력해 공공의대법의 조속한 국회 통과를 위한 총력전에 돌입했다. 박주민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실 및 보건복지부에 직접 방문해 입법 필요성을 건의했으며, 오는 25일에는 김종훈 전북도 경제부지사가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과 면담을 갖고 공공의대 설립을 위한 협조를 요청할 예정이다.

노창환 전북자치도 보건의료과장은 “공공의대 설립은 지역 간 의료 격차 해소와 국가 단위 필수의료 체계 구축을 위한 중요한 해법”이라며 “서남대 정원을 활용한 본 사업은 기존 의대 증원과는 별개로, 현행 법령 내에서 조속히 추진돼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