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감소증은 근육량과 근력, 보행속도 등을 측정해 진단하나 2019년, 아시아 각국의 근감소증 연구자들이 모여 근육량 측정없이 간단하게 추정 근감소증‘을 평가할 수 있는 절차를 제안한 바 있다. 해당 절차에 따르면, ‘추정 근감소증’은 종아리둘레, 근감소증 선별 질문지(SARC-F), 혼합형(SARC-CalF, 종아리둘레와 설문지) 중 하나를 활용해 선별검사를 마친 후, 평가단계에서는 악력 혹은 5회 연속해 의자에서 일어나기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
연구팀은 3가지 선별검사와 2가지 평가 도구를 결합한 ‘추정 근감소증’ 진단 경로 중 남녀 각각 어떤 경로가 근감소증을 가장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지 비교‧분석했다. 해당 연구에는 예측모델의 평가지표인 AUC(Area Under the Curve)와 F1 Score 수치가 활용됐다.
그 결과, 선별단계의 경우, 남자는 종아리 둘레, 여성은 종아리 둘레와 설문지의 혼합형(SARC-CalF) 점수 측정의 신뢰도가 가장 유효했다. 다만, 평가단계에서는 악력과 5회 연속 의자에서 일어나기 중 어느 것을 선택해도 남녀 모두 근감소증 진단에는 차이가 없었다.

해당 논문 제목은 ‘한국 거주 고령층의 성별에 따른 적합한 근감소증 알고리즘 경로 : AWGS 2019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Which pathway of the possible sarcopenia algorithm of the AWGS 2019 guideline is the best in Korean community-dwelling older men and women?)이며, SCIE급 노인병학 분야 국제학술지(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IF 3.5) 최근호(131호)에 발표됐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