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타바이러스 감염증이란 로타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물과 물을 섭취하였거나, 환자 접촉을 통한 사람 간 전파가 가능한 감염병으로, 주로 겨울철에서 봄철까지 발생하며, 로타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1~3일 안에 구토, 발열,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급성설사질환 실험실 감시 결과 5세 이하의 설사환자에서 최근 5주간 로타바이러스 양성률*(9.9%)은 이전 5년 평균 양성률(8.3%)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2017년 장관감염증 집단발생 역학조사 결과, 유행 사례 중 68%(13/19건)가 산후조리원/신생아실에서 발생하여, 집단생활을 하는 유․소아에서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관리를 더욱 철저히 해야 한다고 밝혔다.
질병관리본부는 신생아실, 산후조리원 및 어린이집 등에서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발생 증가에 따른 감염관리 주의를 당부하였다. 아울러,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및 추가 확산 방지를 위한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환자 구토물 처리 시 소독 등 집단 시설의 철저한 환경 관리를 강조하였다.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수칙>
◇ 올바른 손씻기
∘ 흐르는 물에 비누나 세정제로 30초 이상 손씻기
∘ 외출 후, 식사 전, 배변 후, 조리 전, 기저귀 간 후 등
◇ 안전한 식생활 지키기
∘ 끓인 물 마시기
∘ 음식물은 반드시 익혀서 먹기
∘ 집단시설에서 액체분유 사용 권장
◇ 환자와 접촉 제한
◇ 환자의 구토물, 접촉환경, 사용한 물건 등에 대한 염소 소독하기
∘ 염소 (5,000~20,000ppm 농도) 소독하기
김도균 기자
dokyun@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