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시아 국적의 자이로바(48세) 씨는 1년 전 자국에서 폐암 진단을 받고 치료를 위해 의료선진국으로 알려진 한국을 찾았다. 서울에 있는 유명 대형병원에서 검사를 받은 결과, 암이 급속도로 진행돼 폐뿐 아니라 뇌까지 전이되어 길어야 1개월 정도밖에 살 수 없다는 절망적인 말을 들었다.
자이로바씨는 인터넷 검색으로 건양대병원에 러시아 환자를 담당하는 직원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가능한 한 빨리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도움을 요청했다. 자이로바 씨는 러시아 코디네이터인 이리나 씨를 통해 대전으로 내려와 건양대병원 혈액종양내과 최종권 교수를 만났다.
최 교수는 환자의 여러 가지 검사 영상을 확인한 결과 10여 개가 넘는 암 덩어리들이 뇌 속 군데군데를 차지하고 있어, 서울에서 치료를 포기했다는 말을 실감할 수 있었다.
하지만 최 교수는 환자에게 삶의 희망을 놓지 말고 적극적으로 치료할 것을 권유했다. 말기 암 환자라도 치료를 포기하지 않는다면 흔치는 않지만 기적 같은 일이 일어나는 경우를 임상경험을 통해 봤기 때문이다.
최 교수는 우선 환자의 면역체계를 활성화시켜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면역항암요법’과 암세포만을 정밀타격하는 ‘표적항암치료’를 병행하는 치료를 시행했다.
결과는 놀라웠다. 암 세포가 치료에 반응을 보이기 시작하더니 뇌와 폐에 있던 종양들이 약 10개월에 걸쳐 모두 사라졌다. 1개월 시한부 선고를 받은 말기 암 환자가 거의 완치수준의 기적이 일어난 것이다.

건양대병원 최종권 교수는 “말기 암 환자에게 완치를 기대하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지만, 의료진은 최적의 치료법을 찾아보고 환자 역시 삶에 대한 강한 의지가 있다면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라고 말했다.
김송희 기자
songhee@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