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임상연구 미답보 영역에서 선구적 제시 … 미국 국가암네트워크(NCCN)에서는 이미 위험성 경고한 바 있어

그러나 발병률이 높은 만큼 다양한 양상을 보여, 한편으로는 아직 연구가 미진한 부분이 여전히 존재한다. 의정부성모병원은 유방갑상선외과 김용석 교수가 저위험군의 환자들에게 치명적일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연구를 최근 선구적으로 제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연구 논문 발표는 T1b 유방암 (유방암의 크기가 0.5 ~ 1cm 사이인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HER2 유전자 과발현 여부에 따른 생존율을 주제로 다루는 것으로써 의정부성모병원 김용석 교수의 발표로 지난 1월 공개됐다.
김 교수는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유방암학회등록사업을 통하여 등록된 3110명의 T1bN0M0 환자를 대상으로 HER2 과발현 여부에 따라 전체 생존율과 유방암 특이 생존율 데이터를 비교 분석했다고 밝혔다.
해당 데이터에서 HER2 과발현 여부에 따라서는 전체 생존율 및 유방암 특이 생존율에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하위집단 분석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인 환자들 중, HER2 과발현 음성인 환자군이 HER2 양성인 환자군보다 유방암 특이 생존율이 양호하다는 결과가 관측되었으며, 이는 다변량 분석에서도 동일하게 관찰되었다.
즉, 국가 단위로 한국인을 대상, 빅데이터를 이용한 이번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바는 에스트로겐 호르몬 수용체 양성인 환자의 경우에 HER2 과발현에 따라 생존률의 차이를 보인다는 사실로써, 이는 종양의 크기가 작은 림프절 음성의 유방암일지라도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반응과 HER2 과발현 양상이 관측되는 경우 항 HER2 치료제의 사용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는 것이다.
의정부성모병원 김용석 교수는 “현재도 미국의 국가 암네트워크(NCCN)에서는 0.5cm 보다 종양의 크기가 크다면 유방암에 항 HER2 치료제의 사용을 권고하고 있는 반면, 국내의 경우에는 크기가 1cm 보다 큰 유방암에만 보험 급여 적용이 가능해 사실상 처방의 공백이 발생하고 있는 상태”라고 지적하며 “국내에서 적용되지 않는 상황을 재고한다는 것에 이번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에 2021년 1월 게재됐다.
김지예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