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급성 심근경색은 심장의 근육에 혈액을 공급해주는 관상동맥이 갑자기 막히게 되면서 심근에 괴사가 일어나는 질환이다. 관상동맥은 심장에 영양소 및 산소 등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관상동맥이 여러 요인들로 인해 갑자기 막히게 되면 산소와 영양소 공급이 차단되면서 심장 근육이 손상을 입으며 급성 심근경색이 발생하는 것이다.
관상동맥이 막히는 이유는 다양하다. 그 중에서도 동맥경화증 및 콜레스트레롤과 관련이 깊다. 콜레스트레롤이 혈관에 쌓이게 되면 이를 둘러싸고 있는 섬유성 막이 파열되면서 콜레스트레롤이 혈관으로 나오고 혈액과 굳어지면서 관상동맥을 막히게 만든다. 맵고 짠 음식을 즐겨 먹거나 비만인 사람들에게서 이러한 현상이 많이 보이고 있으며, 흡연이나 음주, 운동부족, 고혈압, 당뇨병 등도 위험요인으로 꼽힌다.
문제는 뚜렷한 전조증상이 없어 모르고 일상을 이어나가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물론 관상동맥이 위를 지나가기 때문에 체한 것처럼 속이 더부룩하거나 숨이 차는 등의 증상을 보이기도 하지만 스트레스나 피로로 일어나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넘어가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로 인해 평소 아무런 증상이 없다가 급성 심근경색이 갑자기 찾아오기 시작하게 되고 가슴을 쥐어짜는 듯한 극심한 가슴통증이 나타난다. 숨이 멎을 정도의 통증이 약 30분 이상 지속되고 통증이 목까지 올라오거나 어깨나 팔로 내려가기도 한다.
따라서 조금의 전조증상이라도 보이면 바로 의료기관을 찾는 것이 좋으며 참을 수 없을 정도의 가슴통증이 느껴질 경우 즉각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가급적 119 응급구조의 도움을 받아 빠르게 의료기관에 방문해야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응급치료는 보통 막힌 혈관을 찾아 혈관 안으로 스 탠트라는 철망을 삽입해 혈관을 확장하는 스탠트 삽입술을 시행한다.
스탠트 시술 후 관리도 중요하다. 시술 후 회복을 앞당기고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양방치료와 한방치료를 함께 진행하는 양한방 통합치료를 한방치료를 고려해보는 것도 방법이다. 한방에서는 심근경색과 같은 심장 질환의 근본적인 원인을 심기의 이상으로 보고, 심장을 박동시키는 심기를 다스려 생체 활성화를 유도해 심혈관을 강화하는 치료를 적용한다.
이 같은 치료법은 스탠트가 자리를 잘 잡을 수 있도록 도울 뿐 아니라 이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혈전을 막아 좋은 결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다만 의료진의 숙련된 경험과 노하우가 중요하며 의료기관의 체계적인 시스템 하에 적용되어야 만 만족스러운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단 점을 필히 염두에 둬야 한다.
나도균의원한의원나도균원장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