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확진자 4개월 추적관찰 중간 분석 발표... 2회 이상 접종자, 심장, 혈전, 신장, 호흡기 등 질환의 발생위험이 유의미하게 감소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3일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밝혔다.
이들 기관은 코로나19 감염 이후에도 지속되는 증상을 빅데이터를 이용해 체계적으로 조사하는 「만성 코로나19증후군 조사연구」(연구책임자 한림대의대 이재갑 교수)를 진행하고 있다. 이 중 하나인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코로나19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의 중간 결과가 지난달 21일 공개된 것이다.
연구에 따르면, 국내 오미크론 유행시기에 확진된 1,200만여 명을 확진 이후 4개월간 추적 관찰하여 27개 주요 질환(심혈관계, 혈전 관련, 신경계, 호흡기계, 소화기계, 내분기계 등) 발생 위험을 백신 접종 여부에 따라 비교했다.
그 결과 2회 이상 백신접종자는 미접종자 대비 코로나19 감염 이후 심혈관질환(허혈성심질환, 심부전, 부정맥, 심정지), 혈전 관련 질환(폐색전증, 정맥혈전증), 신장질환(급성신부전, 혈액투석), 호흡기 질환(만성폐쇄성폐질환, 간질성폐질환), 간경화, 당뇨병 등의 질환 발생위험이 유의하게 감소했으며, 심정지 발생은 2회 이상 예방접종군에서 54%(95% 신뢰구간 45% ~ 63%), 간질성폐질환 발생은 62%(95% 신뢰구간 47% ~ 73%) 낮았다.
또한, 3회 백신 접종자는 2회 접종자와 비교했을 때, 심장질환(심부전 15%, 부정맥 16%, 심정지 27%), 신장질환(혈액투석 27%) 등의 질환 발생위험이 추가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빅데이터 기반으로 한 코로나19 관련 표준질병코드(U09.9)를 통해 코로나19 확진자가 높은 시기인 ’20년 10월부터 ’22년 10월까지(2년 1개월 간)의 국내 발생양상을 분석한 결과, 만성 코로나19증후군으로 진단된 사례는 총 9만 4천여명으로, 확진자의 0.4%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질병청은 향후,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코로나19 급성기에 복용한 치료제가 만성 코로나19증후군 발생에 미치는 영향, 만성 코로나19증후군으로 간주 될 수 있는 질환군을 추적관찰하여 코로나19 이후 중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환군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고, 그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아울러, 만성 코로나19증후군 조사연구사업에서는 소아 및 성인을 대상으로 코호트를 구축하여 장기관찰 임상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질병청은 이를 위하여 코로나19 확진이력이 있고, 지속되는 증상(만성기침, 호흡곤란, 불안/우울, 피로, 기억력 저하 등)이 있는 국민의 참여를 당부하고 있다. 참여방법은 만성 코로나19증후군 조사연구 사무국을 통해 안내받을 수 있다.
국립감염병연구소 장희창 소장은 “국내 확진자를 대상으로 하는 만성 코로나19증후군 조사연구는 진료지침 제시 및 관리대책 방안 마련을 위해 중요하며, 조사연구가 충실히 진행될 수 있도록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리며, 추가 분석을 통해 연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라고 밝혔다.
김지예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