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21세기병원김대환원장
광명21세기병원김대환원장
뼈와 뼈가 만나는 부위인 관절은 신체를 무리 없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부위이다. 특히 무릎의 경우 보행활동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기 때문에 건강관리에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데, 신경을 쓴다고 하더라도 사용량이 많아 다양한 질환에 노출되기 쉽다.

무릎 관절은 정강이뼈와 넙다리뼈가 만나는 부위로 근육, 힘줄, 인대, 활액, 연골 등 다양한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중에서도 무릎 관절을 보호하면서 안정적인 움직임을 돕는 구조물인 반월상연골판은 한번 손상될 경우 자연적으로 치유가 어렵기 때문에 손상에 주의해야 한다.

반월상연골판은 초승달 모양의 연골조직으로 내측과 외측에 한 쌍씩 좌우 무릎에 존재한다. 이는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체중을 분산시킴으로써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때문에 반월상연골판 파열과 같은 질환이 발생할 경우 무릎 통증이나 부종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관절이 불안정해지기도 한다. 심한 경우에는 퇴행성 관절염과 같은 이차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방치하기 보다는 의료기관을 찾아 빠르게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좋다.

반월상연골판 파열은 대표적인 스포츠 질환 중 하나로 과도한 운동을 하다가 손상되는 경우가 많다. 축구, 농구와 같은 스포츠 활동 중 갑작스러운 방향 전환이나 급정지를 하거나 점프 후 불안정한 착지를 할 때 무릎 축이 뒤틀리면서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넘어지면서 무릎을 찧거나 경기 중 태클에 의해 무릎에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져 발생하기도 한다. 이외에도 나이가 들면서 발생하는 퇴행성 변화나 잘못된 자세 습관 역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반월상연골판의 파열 정도가 심하지 않다면 보행 시 통증이 나타나거나 약간의 불편함 정도를 느끼지만 파열 범위가 크거나 점차 악화되면 무릎이 구부려지지도 펴지지도 않는 잠김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반월상연골판에 문제가 발생하면 본래 기능을 잃게 되면서 퇴행성 변화의 진행속도가 빨라질 수 있어 파열된 범위와 위치, 증상 및 지속기간, 과거 치료유무 등을 고려해 적절한 치료가 진행되어야 한다.

반월상연골판이 파열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증상이 경미하고 파열의 범위가 넓지 않거나 형태나 위치가 양호한 경우라면 약물치료, 물리치료, 운동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며 증상 호전을 지켜볼 수 있다. 하지만 파열의 범위가 넓고 파열 위치에 따라 지속적으로 손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경우라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좋다.

반월상연골판 파열 수술은 환자 개인의 상태에 따라 봉합술, 절제술, 이식술로 나뉘어진다. 이 때 카메라가 달린 기구를 삽입하는 관절내시경을 이용하게 되는데 관절과 주변 조직의 손상범위를 확인함과 동시에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절개 부위가 작아 감염, 출혈의 위험이 낮고 일상 복귀가 빠른 것이 특징이다.

(글 : 21세기병원 김대환 원장)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