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염성 강한 바이러스가 낮은 기온에서 생존력 높아... “어패류 익혀서 섭취, 손씻기 철저”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2019∼2023년 최근 5년간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은 총 243건(환자수 4279명)이 발생했다. 월별로 발생 추이를 살펴보면 12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발생한 식중독 건수는 154건으로, 전체 식중독 건수의 63.4%가 겨울철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연우 부산 온종합병원 소화기내과 과장은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면 하루 이틀 정도 잠복기를 거친 뒤 구토,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서, “대개 2, 3일간 지속되다 자연적으로 회복된다고 말했다.

식품으로 인한 노로바이러스 감염의 주요 원인은 생굴 등 익히지 않은 어패류로, 굴 제품 포장에 ‘가열조리용’, ‘익혀 먹는’ 등의 표시가 있으면 반드시 중심 온도 85℃, 1분 이상 가열해 섭취해야 한다. 또한, 지하수는 정기적인 수질 검사를 통해 노로바이러스 검출 여부를 확인해야 하고 오염이 의심되는 경우 반드시 끓여서 마셔야 한다.
집단 생활을 해야 하는 어린이집, 유치원이나 학교 등에서는 사람 간 접촉으로 인한 노로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비누를 이용해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손 씻기 등 개인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게 지도해야 한다.
박철우 온종합병원 소화기내과 과장도 “학교, 어린이집 등에서 노로바이러스 감염 의심 증상이 있는 사람은 조리 등에 참여하지 않아야 하고 증상이 회복된 후에도 2, 3일간은 휴식을 취하도록 조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감염 환자의 구토물·분변 등을 처리한 주변이나 환자가 사용한 화장실, 문 손잡이 등은 염소 소독제를 사용해 소독 처리해야 한다고 박 과장은 덧붙였다. 또 일반 가정에서도 개인 위생 관리는 물론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되기 쉬운 도마 등 조리 기구에 대한 세척이나 소독에 유의해야 한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