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뇌졸중학회가 지난 달 29일 서울 드래곤시티에서 진행한 국제학술대회 (International Conference STROKE UPDATE 2024, 이하 ICSU)에서 급성 뇌졸중 인증의 심사 결과와 검증된 급성 뇌졸중 인증의를 기반으로 전국 뇌졸중 치료 안전망을 구축해야함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급성 뇌졸중 인증의는 급성기 뇌졸중 진료에 전문적인 자격과 능력을 갖춘 신경과 의사를 인증함으로써 필수중증응급질환인 뇌졸중을 1년 365일 24시간 진료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확보하고 향후 지속가능한 전문 인력 운용체계 확립하고자 대한신경과학회와 대한뇌졸중학회에서 인증하는 제도다. 올해 처음 도입된 급성 뇌졸중 인증의 심사는 2024년 9월 2일부터 약 1개월 간 신청과 2차 심사과정을 거쳤으며, 505명의 신경과 전문의가 급성 뇌졸중 인증의로 인증 받았다.

대한뇌졸중학회 국제학술대회 (왼쪽부터) 김영서 교수, 허성혁 교수, 김대현 교수 (대한뇌졸중학회 제공)
대한뇌졸중학회 국제학술대회 (왼쪽부터) 김영서 교수, 허성혁 교수, 김대현 교수 (대한뇌졸중학회 제공)
급성 뇌졸중 인증의 제도 과정에 대해서 발표를 진행한 대한신경과학회 정책이사 고상배 교수는 급성 뇌졸중 인증의 자격검토 과정에서 뇌졸중 전공 여부, 급성 뇌졸중 환자의 진료 경험, 뇌졸중학회 혹은 신경과학회에서의 교육과 활동 등을 포함하여 뇌졸중과 관련된 진료, 연구, 교육에 모두 적극적으로 참여한 사람들이 급성 뇌졸중 인증의로 인증 받았다며, 급성 뇌졸중 인증의는 독립적으로 환자를 보고 초급성기 뇌졸중 치료를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신경과 전문의 임을 강조했다. 또한, “처음으로 진행하는 급성 뇌졸중 인증의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공유하고 향후 공정하고 지속적인 인정의 심사 과정이 지속될 수 있도록 여러 보완 방안을 구축하겠다”고 의견을 밝혔다.

대한뇌졸중학회 정책이사 이경복 교수는 “서울 이외 지역응급센터의 30% 이상에서 급성기 치료가 안돼 재이송을 하기 때문에 골든타임을 놓치게 된다. 따라서 지역응급센터 중 취약지역을 커버할 수 있고 성장 가능성이 있는 곳을 선별해 인력지원 등을 통해 거점 뇌졸중센터로 성장시켜 전국 뇌졸중센터 숫자를 늘려야 한다” 며 “현재 119의 급성 뇌졸중 환자 이송지침을 지역응급센터에서 뇌졸중센터로 변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이렇게 24시간 급성 뇌졸중 진료가 불가능한 것은 제대로 치료할 수 있는 의료진이 없기 때문으로, 대한뇌졸중학회의 급성 뇌졸중 인증의는 현재 뇌졸중 치료 시스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라고 강조하면서, “현재 급성 뇌졸중 인증의의 52.3%이 서울, 경기 지역의 병원에 분포하는 반면 (서울 161명, 경기 103명), 강원 지역은 14명, 광주/전남 지역은 37명으로 급성 뇌졸중 인증의 숫자도 지역별 불균형이 아직 존재한다. 따라서, 각 취약 지역의 뇌졸중 센터 확보와 함께 전문 인력의 확보가 동시에 진행돼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세션에 참여한 김영서 교수는 뇌졸중은 대표적 필수중증응급질환으로 빠른 시간안에 진단과 치료를 결정해야 하기 때문에 뇌졸중 의심 환자를 진료할 때 신경과 의사의 업무부담이 높은 편이다. 따라서, 뇌졸중을 전공하는 의사가 점차 줄고, 인력난은 더욱 심해질 것으로 생각된다. 현 상황에서 여러 의료진의 이탈의 위기가 지속되고 있어, 앞으로의 뇌졸중 진료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정부의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경문 대한뇌졸중학회 이사장은 “뇌졸중은 적정 시간내에 적절한 치료를 받느냐에 따라 환자의 예후가 급격히 달라지는 필수중증응급질환이다. 급성 뇌졸중 인증의를 기반으로 뇌졸중 치료 시스템을 구축하고, 여러 네트워크 사업을 성공적으로 운영할 수 있기를 바란다. 학회는 지속적인 급성 뇌졸중인증의 확보를 진행하여 한국의 뇌졸중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