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인환·왕순주 한림대동탄성심병원 교수팀, 중심망막동맥폐쇄에서 고압산소치료 효능 증명
고압산소치료 받은 그룹, 교정시력 3~4단계 향상되고 시세포 모여있는 망막 두께 유지돼
이러한 가운데 중심망막동맥폐쇄에 대한 고압산소치료의 효능을 증명한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고압산소치료는 대기압보다 2~3배가량 높은 고압산소를 체내 혈액 속에 녹아들게 해 몸 곳곳으로 고농도 산소를 공급하는 치료법이다.

연구팀은 2015년 12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에서 중심망막동맥폐쇄로 치료를 받은 50명의 환자를 분석했다. 이들 중 21명은 표준치료인 눈 마사지와 안구내압 강하제 복용을 했고, 나머지 29명은 표준치료와 함께 고압산소치료를 받았다. 표준치료만 받은 환자들은 신부전 및 귀의 이상 등으로 고압산소치료를 받을 수 없었거나 스스로 거부한 경우였다.
또 시력 변화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치료 후 6개월간 최대 교정시력과 중심 망막 및 맥락막의 두께를 평가해 분석했다. 망막은 안구의 가장 속층이며 빛수용세포를 포함한 여러 세포가 모여있다. 또한 맥락막은 망막으로 영양을 공급하기 때문에 중심망막동맥폐쇄 후 시력 저하와 관련성이 있다.
두께 측정은 레이저 광선을 이용해 안구 내 단층적인 구조를 검사하는 광학간섭단층촬영으로 이뤄졌다. 중심망막동맥폐쇄 발병 후 고압산소치료를 받기까지 평균 3.6일이 걸렸으며, 2주간 평균 11일의 고압산소치료를 받았다.
추적 관찰 결과 고압산소치료를 받은 그룹은 매월 일관되고 의미 있는 수치로 시력이 개선됐다. 중심망막동맥폐쇄 발병 후 최초 병원 방문 시 평균 교정시력(logMAR)은 2.03이었지만 고압산소치료 6개월 뒤 교정시력은 1.55로 나타나, 3~4단계의 시력 상승 효과를 보였다. 이는 치료 전 눈앞에 있는 손가락을 구별하기 어려운 ‘안전수동’에서 고압산소치료 후 2m 떨어진 거리의 시력표 첫 번째 줄에 있는 글자를 읽을 수 있는 시력 0.05 수준으로 회복된 것이다. 그러나 표준치료만 받은 그룹의 평균 교정시력(logMAR)은 치료 전 2.1에서 치료 후 2.11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고압산소치료를 받은 모든 환자에게서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망막 및 맥락막 두께의 경우 두께 감소가 적을수록 시세포의 손실이 적은 것으로 볼 수 있는데, 고압산소치료를 받은 그룹이 표준치료만 받은 그룹보다 경과 관찰 기간 두께 감소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압산소치료 그룹은 6개월간 망막과 맥락막의 두께 감소가 9%에 그쳤지만, 표준치료만 받은 그룹은 두께가 23%까지 줄어들었다. 고압산소치료 그룹에서 망막층의 두께 감소가 적었던 것은 광수용체가 보존됐기 때문이며, 맥락막은 혈관이 많이 모여있는 곳으로 허혈이 덜했기 때문에 두께 감소가 적었던 것으로 분석됐다.

홍 교수는 “고압산소치료는 중심망막동맥폐쇄로 망막으로 가는 동맥이 막혔을 때 높은 대기압에서 100%의 산소를 흡입하게 해 혈관을 확장시키고 재개통할 수 있게 만들어 시력 회복을 돕는다”며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고압산소치료가 중심망막동맥폐쇄의 표준치료로 확립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논문은 SCIE급 국제 학술지인 ‘Scientific Reports(피인용지수(IF): 3.8)’ 10월호에 게재됐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