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의 ‘표본감시 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1월 9일까지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으로 입원한 환자는 2만3625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2699명) 대비 약 9배 증가했다. 특히 12세 이하 아동이 전체 입원 환자의 71%(1만6770명)를 차지해, 자녀를 둔 부모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증상은 감염 후 1~4주의 잠복기를 거쳐 나타나며 지속적인 감염과 발열, 인후통, 두통, 피로감 등이 주요하다. 일반 폐렴과 달리 발열이 두드러져 흔히 독감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하지만 감기약이나 해열제를 써도 2~3일 이상 열이 내리지 않으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치료하지 않으면 중증 폐렴으로 진행하거나 호흡 곤란, 뇌염, 심근염 등으로 악화할 수 있다.
확진은 엑스레이, 혈액검사, 유전자 증폭(PCR) 검사로 이뤄진다. 치료는 항생제를 사용하면 대부분 호전되지만, 항생제 내성 발생 시 2차 항생제나 스테로이드로 치료해야 할 수도 있다.
치료 중에는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가 중요하며, 완치 후에도 재감염 방지를 위한 예방수칙을 지켜야 한다. 손을 자주 씻고 기침이나 재채기 시 휴지나 손수건으로 입을 가리며,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를 피하는 것이 권장된다.
(글 : 한상훤 부천우리병원 병원장(내과 전문의))
김국주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