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을 주식회사(376930, 이하 ‘노을’)는 서울아산 병원, 연세의료원, 하버드 의대 소속 병원인 매사추세츠 종합병원(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MGH)과 협력해 개발한 차세대 암 진단 기술 ‘최소침습적 AI 기반 암 진단 시스템’이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에서 2025년 10대 대표과제로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AI 기반 차세대 암 진단 시스템은 염색 단계부터 이미징, AI 진단까지 전자동화한 전세계 유일한 솔루션으로, 최소침습적 방식으로 현장에서 간단하고 빠르게 암 진단 검사를 제공한다. 첫 상용화 제품으로 AI 기반 자궁경부암 진단 솔루션 ‘miLab™ CER’이 있으며, 노을은 해당 기술을 기반으로 향후 다양한 암종으로 적용 범위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왼쪽부터) 김법민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개발사업 단장, 임찬양 노을 주식회사 대표 (노을 제공)
(왼쪽부터) 김법민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개발사업 단장, 임찬양 노을 주식회사 대표 (노을 제공)
임찬양 노을 대표는 “이번 10대 대표과제 선정에 노을의 AI 기반 자궁경부암 진단 제품인 'miLab™ CER’의 성공적인 상용화가 크게 기여한 것으로 보고 있다. 노을은 지난 4년간 고체 염색법이 적용된 스마트 카트리지 기술을 기반으로 자궁경부암, 유방암, 갑상선암, 폐암, 췌장암, 담도암 등 다양한 암 진단 영역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특히 상용화된 자궁경부암 진단 제품은 WHO-UNITAID로부터 사용 권고되며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력과 제품력을 인정받았다. 노을의 핵심 기반 기술을 바탕으로, 앞으로 다양한 암종의 진단으로 연구개발과 비즈니스를 확대해 나가려고 한다”고 밝혔다.

한편,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4개 정부 부처가 협력해 의료기기 개발을 지원하는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이다. 해당 사업은 기초 연구부터 제품 인허가, 시장 진출까지 의료기기 개발의 전 과정을 아우르며, 국내 의료기기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