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 멈추는 시간이 길수록 청력 손실 위험도 증가
이전미 일산백병원 교수, 수면무호흡증과 청력 손실 연관성 확인
“저산소증으로 인한 청력 신경세포 손상 위험 커져”

수면 중 호흡이 멈추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SA)이 청력 손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잠잘 때 숨 멈추는 시간이 길수록 청력 손상이 더욱 심해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전미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연구팀은 2014년부터 2023년까지 수면무호흡증 환자 90명과 정상 대조군을 1:1로 매칭해 청력을 비교 분석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 수면무호흡증 환자는 정상 대조군보다 모든 주파수 대역(500Hz, 1kHz, 2kHz, 4kHz, 8kHz)에서 청력이 더 나쁜 경향을 보였다. 특히 2kHz 이상의 고주파 영역에서 청력 손실이 두드러졌다.

또한 수면무호흡증 환자 중에서도 무호흡 지속 시간이 긴 그룹에서 청력 손실이 더욱 심각하게 나타났다. 이는 수면무호흡증 자체가 청력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무호흡 지속 시간이 길수록 청력 손실 위험이 더욱 증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코골이를 방치한 채 그대로 둔다면 청력 손상까지 야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주요 원인으로는 수면무호흡증에 따른 저산소증, 산화 스트레스가 꼽혔다. (클립아트코리아)
코골이를 방치한 채 그대로 둔다면 청력 손상까지 야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주요 원인으로는 수면무호흡증에 따른 저산소증, 산화 스트레스가 꼽혔다. (클립아트코리아)
◇저산소증과 산화 스트레스, 청력 손상의 주요 원인


수면무호흡증이 발생하면 혈중 산소 수치가 감소하는 저산소증이 유발되며, 이로 인해 귀로 가는 미세혈관의 혈류 장애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달팽이관(와우)은 정상적인 청각 기능을 위해 원활한 산소 공급이 필수적인데, 산소 부족이 지속되면 청각 세포와 청신경이 손상될 위험도 커질 수 있다.

또한, 반복적인 저산소증과 산소 재공급 과정에서 산화 스트레스와 염증 반응이 증가해 신경 기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심한 코골이로 인한 소음 역시 지속적인 청각 손상을 초래할 가능성도 있다.

이전미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단순히 수면무호흡증 환자가 청력 손실 위험이 크다는 사실을 넘어, 무호흡 지속 시간이 길수록 청력 손상이 더욱 심해진다는 점을 규명했다”며 “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한 만성 저산소증과 혈류 장애가 청각 신경과 달팽이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전미 일산백병원 이비인후과 교수가 수면무호흡증 환자를 분석한 결과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청력 손실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일산백병원 제공)
이전미 일산백병원 이비인후과 교수가 수면무호흡증 환자를 분석한 결과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청력 손실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일산백병원 제공)
◇수면무호흡증 치료, 청력 손실 예방의 첫 걸음


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한 청력 손실을 예방하려면 무호흡 증상을 줄이고 혈류 및 산소 공급을 원활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선 양압기(CPAP) 치료는 기도를 열어 산소 부족을 방지하고 청력 손실 위험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체중 감량과 규칙적인 운동, 금연 및 절주를 하면 무호흡 증상이 완화될 수 있다. 옆으로 자는 수면 자세를 유지하면 기도 폐쇄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며, 필요하면 구강 내 장치나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도 있다.

이전미 교수는 “수면무호흡증 치료는 단순히 수면의 질을 개선하는 것을 넘어, 장기적으로 청력을 보호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며 “무엇보다 수면무호흡증을 조기에 진단하고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청력 손실 예방을 위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국제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 최신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