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질환에서 수술을 고려해야 할 시점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는 응급 상황으로, 갑작스러운 하지나 상지 마비, 소대변 장애, 심한 사지 부전마비나 보행 장애 등이 동반된 경우다. 두 번째는 통증이 주요 증상인 경우로, 약물치료, 물리치료, 신경 차단술 등의 보존적 치료를 시도한 후 6주 이상 증상이 개선되지 않으면 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 홍현종 서울연세병원 원장은 "그러나 모든 환자가 수술을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치료 과정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의료진과의 상담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척추질환의 수술법은 다양하지만, 최근에는 최소 침습 수술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최소 침습 수술법은 정상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회복 시간이 짧고 환자 만족도가 높은 편이다. 홍현종 원장은 "특히, 나사못이나 인공 디스크 같은 보형물을 사용하지 않는 수술법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서 홍 원장은 "각 환자의 상태에 맞는 치료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적합하지 않은 방법을 사용하면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의료진과의 상담이 필수적이다"라고 조언했다.

척추내시경 수술은 한방향과 양방향 수술 방법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는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수술이므로, 다양한 수술법을 숙지한 의료진에게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반면 척추내시경이 권장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병변이 다발성일 경우나 척추 불안정성, 척추 골절 등이 동반된 경우 기존 수술법이 선호된다. 홍 원장은 "척추내시경 수술 후에는 갑작스러운 활동을 피하고, 보조기를 착용하여 수술 부위를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