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원인으로는 흡연과 음주가 가장 큰 위험 요인으로 꼽힌다. 특히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두경부암 발생 위험이 12~15배 정도 높아지고 흡연과 음주를 함께하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발병률이 급격히 증가한다. 최근에는 인유두종 바이러스와 연관된 두경부암의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는데, 인유두종 바이러스가 두경부암의 일종인 구인두암의 발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단을 위해서는 먼저 이학적 검사를 실시한다. 전문의가 시진, 촉진, 타진, 청진 등으로 환자의 이상 유무를 판단한다. 이와 함께 코와 입을 통한 내시경으로 의심 부위를 정확히 확인하고 CT, MRI, PET-CT 등 영상의학, 핵의학 검사와 세침흡인검사, 조직 검사 등을 통해 확진한다. 특히 세침흡인검사는 얇은 바늘로 병변의 세포를 소량만 채취하여 진행하는 비교적 안전한 검사인데, 암을 감별하는 정확도는 90% 이상이다.
치료의 기본 원칙은 수술로 종양을 광범위하게 절제하는 것이다. 그러나 두경부암의 경우에는 여느 암들과는 달리 생존율 이외에도 살펴야 할 부분들이 많다. 먹고 말하고 호흡하는 기관들이 모여 있기 때문에 암의 제거는 물론이고, 기능의 보존과 재건 수술 가능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환자 맞춤형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환자의 상태에 따라 수술 전후로 방사선 치료와 항암 치료 등을 병행하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 재발율도 낮출 수 있다.

암이 일정 수준 이상 진행되면 수술 과정에서 상당한 조직 결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재건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일례로, 후두암으로 인해 후두를 절제한 경우 인공성대를 삽입해야 하며, 하인두암으로 인해 인두를 제거하면 피부를 절개해 인두 형태를 만든 후 이식하는 재건 수술을 시행해야 한다. 다행히 재건 수술 후 대부분의 환자가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으며, 수술 이후에는 삼킴 장애, 발성 장애, 조음 장애 등을 극복하기 위한 재활 치료가 필요하다.
예방을 위해서는 흡연과 과도한 음주는 반드시 피해야 하며, 구강 위생을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남녀 모두 젊은 나이인 12~26세에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해당 바이러스와 관련된 구인두암 혹은 구강암의 발생을 낮추는데 도움이 된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