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 구조물이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기 위해서는 잇몸뼈와 골유착을 이뤄 단단히 결합이 돼야 한다. 뿐만 아니라 임플란트 시술 및 보철이 완성된 이후에도 장기적인 안정성을 위해서는 임플란트 주변부에 최소 1-2 mm 이상 뼈로 둘러싸여야 한다는 것이 최신 연구 결과로 밝혀지고 있다. 치주질환이나 외상, 노화로 인해 잇몸뼈가 부족한 경우, 발치 후 장기간 방치해 잇몸뼈가 흡수되거나 재생되지 않는 경우, 임플란트를 식립하기에 잇몸뼈의 폭경이 너무 얇아서 보강이 필요한 경우 등 다양한 상황에서 임플란트 수술 시 부가적으로 뼈이식이 필요하다.

이러한 임플란트 뼈이식의 성공률을 높이고 임플란트 재수술을 막기 위해서는 3D CT, 구강스캐너 등 첨단 장비를 활용해 환자의 구강 구조와 치조골, 신경, 혈관 등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정교한 맞춤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과정은 환자의 개별적인 상황에 맞춘 최적의 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필수적인 단계이다.
아울러 임플란트 뼈이식의 장기적인 유지를 위해서는 꾸준한 관리가 필수적이다. 정기적인 치과 방문을 통해 임플란트 상태를 점검하고 필요시 즉각적인 치료를 받아야 하며, 염증 예방을 위한 철저한 구강 위생 관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관리가 이뤄지지 않으면 임플란트의 성공률이 낮아질 수 있다.
성공적인 임플란트 뼈이식을 위해서는 사전에 체계적인 진단을 바탕으로 한 치료 계획이 수립돼야 하며, 수술 후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적극적인 관리와 협조가 필요하다. 뼈이식은 고난도 수술인 만큼 치과 선택 시 관련 시술 경험이 많고 구강에 대한 풍부한 해부학적 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의료진의 상주 여부, 첨단 디지털 장비 보유 여부, 사후관리 시스템 구축 여부 등을 꼼꼼히 확인할 것을 권한다.
(글 : 우민호 서울이해드림치과 원장)
키워드
#임플란트뼈이식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