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연한 봄이 찾아오면서 나들이와 야외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하지만 오랜만에 활동량이 늘어나면서 무릎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특히 중년층 이상에서는 관절 연골 손상이나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해 무릎 통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퇴행성 관절염은 진행 단계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지는데, 초중기에는 약물이나 물리치료, 주사치료 등을 시행할 수 있다. 연골이 모두 닳은 말기에는 인공관절 수술이 필요하다.

다만 인공관절 수술이 이르거나 나이가 비교적 젊은 중기 관절염 환자들은 인공관절 수술에 대한 부담이 다소 큰 편이다. 이에 최근 새로운 치료법으로 ‘자가지방 기질혈관분획(SVF, Stromal Vascular Fraction) 관절강내 주사’가 주목받고 있다.

지방조직에서 분리 농축된 SVF (연세사랑병원 제공)
지방조직에서 분리 농축된 SVF (연세사랑병원 제공)
자가지방 기질혈관분획(SVF)은 환자의 지방 조직에서 추출한 세포를 이용하는 치료법이다. 지방 조직에는 중간엽 줄기세포와 함께 혈관 내피세포, 면역세포, 섬유아세포 등이 풍부하게 포함돼 있는데, 이들을 분리 및 농축해 손상된 조직의 재생을 촉진하는 것이 SVF 치료의 원리이다. SVF는 환자의 지방을 활용하기 때문에 거부 반응이 적고, 통증과 염증 완화 효과가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SVF 주사치료는 지난해 6월 신의료기술로 인정받았다. 실제 2024년 7월부터 11월까지 연세사랑병원에서 SVF 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 145명을 대상으로 통증 변화를 조사한 결과 주관적 통증 척도가 6.5±1.2에서 3.1±1.6로 절반 이상 줄어들어 호전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고용곤 연세사랑병원 병원장은 “SVF 주사치료로 자기 관절을 보존하고 인공관절 수술을 늦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른 나이에 퇴행성 관절염을 앓는 환자들에게 새로운 대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