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봄날 벚꽃이 만개한 요즘, 오히려 외출을 주저하는 이들이 있다. 60대 여성 A씨는 최근 벚꽃길을 따라 산책에 나섰다가 무릎 통증으로 병원을 찾았다. “걷기 시작한 지 30분도 안 돼 무릎 안쪽이 욱신거리며 통증이 심해졌고, 벚꽃은 눈에 들어오지도 않고 벤치만 찾게 됐다”라며 “이젠 꽃구경도 겁난다”라고 말했다. 이처럼 퇴행성관절염이 중기 이상으로 진행된 환자들은 날씨가 풀리고 외부 활동이 늘어나는 봄철에 무릎 통증이 급격히 심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퇴행성관절염은 관절 연골이 점차 닳아 없어지는 질환으로, 중기 이후에는 관절 간격이 거의 사라지고 뼈끼리 직접 맞닿으면서 극심한 통증과 관절 변형이 발생한다. 이때 무릎이 붓고 열감이 생기며, 걷기나 계단 오르기 같은 일상 활동조차 큰 부담이 된다. 특히 체중을 지탱하는 무릎 안쪽 연골부터 먼저 손상되기 때문에, 초기에는 한쪽 무릎 안쪽에만 통증이 느껴지다가 점차 양쪽으로 확산하는 양상을 보인다. 질환이 말기로 진행되면 통증은 단순 활동 중뿐 아니라 휴식 중에도 지속되며, O자형 다리 변형이나 보행장애까지 동반될 수 있다.

봄철 외출 중 무릎 통증이 심해지는 퇴행성관절염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를 방치하면 연골 손상이 악화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클립아트코리아)
봄철 외출 중 무릎 통증이 심해지는 퇴행성관절염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를 방치하면 연골 손상이 악화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클립아트코리아)
특히 체중을 지탱하는 무릎 안쪽 연골이 먼저 손상되기 때문에, 초기에는 한쪽 무릎 안쪽만 아프다가 점차 양쪽으로 진행되는 경향을 보인다. 퇴행성관절염이 말기까지 진행되면 통증이 활동 중뿐 아니라 휴식 중에도 지속되며, 급기야 O자형 다리 변형이나 보행장애가 동반된다.

허동범 연세스타병원 병원장은 “퇴행성관절염은 조기에 발견하면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될 수 있지만, 중기 이상부터는 연골 회복이 어렵고 치료 선택지가 제한된다”라고 설명했다. “특히 봄나들이 이후 무릎에 열감이 느껴지거나 관절이 붓고 ‘물이 찬 듯한 느낌’이 든다면, 이는 단순한 피로가 아닌 관절 내 염증성 변화일 가능성이 높다”라고 덧붙였다.

꽃놀이처럼 장시간 걷거나 계단을 반복적으로 오르내리는 활동은 손상된 연골에 미세한 자극을 주며 관절 내 윤활막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절 내 체액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며, 무릎이 붓고 물이 차는 등의 통증이 심해질 수 있다.

꽃놀이처럼 장시간 걷거나 계단을 반복적으로 오르내리면 손상된 연골 부위에 미세한 자극이 누적돼 염증 반응이 유발될 수 있다. 무릎이 붓고 물이 찼다는 느낌이 든다면 이는 관절 내부에서 체액이 고인 상태로 이런 증상은 퇴행성관절염이 중기 이상으로 진행되며 나타나는 전형적인 반응으로, 무릎 관절 내 윤활액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해 ‘관절삼출’ 현상이 나타난 경우다.

이러한 증상이 발생하면 병원에서는 우선 관절 초음파나 X-ray 검사를 통해 관절 내 삼출 여부와 연골 손상 정도를 정밀하게 확인한다. 관절 내 염증이나 체액 고임이 확인되면, 소염제 또는 히알루론산 주사를 통해 염증을 줄이고 통증을 완화하는 치료가 시행된다.

만약 삼출액이 과도하게 고여 무릎이 심하게 붓고 열이 나는 경우에는, 주사기를 이용해 고인 체액을 직접 제거하는 처치를 함께 진행한다. 이후에도 통증이 지속되거나 일상생활에 불편이 큰 경우에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등 다양한 보존적 접근이 병행된다.

그러나 퇴행성관절염이 중기 이상으로 진행된 경우, 비수술적 치료만으로는 호전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때는 무릎의 정렬을 바로잡는 절골술, 관절 손상이 심하면 인공관절 치환술 등의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게 된다.

허동범 연세스타병원 병원장
허동범 연세스타병원 병원장
허 원장은 “꽃놀이 같은 외출을 다녀온 뒤에도 무릎이 붓고 열이 나거나, 걷기만 해도 시큰거리는 통증이 반복된다면 이미 퇴행성관절염이 중기 이상으로 진행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괜찮겠지’ 하며 지나쳤던 통증들이 계절마다 반복되면서 연골 손상을 누적시키고, 결국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말기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꽃은 매년 피지만, 무릎은 스스로 낫지 않는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