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표적항암 신약 ‘HM97662’ 효과 예측 바이오마커 발굴…EZH1/2 이중 저해제, 환자 선별 가능성 제시…4월 AACR서 추가 연구결과 공개

한미약품이 차세대 표적항암 신약 효과를 예측한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맞춤형 항암 치료 시대에 한걸음 더 다가섰다.
한미약품이 ‘EZH1/2 이중 저해제(HM97662)’의 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신규 바이오마커(Biomarker, 단백질이나 DNA, RNA, 대사물질 등을 이용해 몸 안의 변화를 알아낼 수 있는 지표)를 발굴하며 환자 맞춤형 항암치료의 가능성을 높인 것이다.
한미약품은 4월 2일부터 4일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제24회 바이오 IT 월드 컨퍼런스 & 엑스포(2025 Bio-IT World Conference & Expo)’에서 HM97662 관련 연구 성과를 포스터로 발표했다.
HM97662는 암 세포 성장과 분화를 조절하는 EZH1과 EZH2 단백질을 동시에 억제하는 기전을 통해 강력한 항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신약 후보 물질이다. 현재 한국과 호주에서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글로벌 임상 1상 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이번 학회에서 한미약품은 생물정보학 기반 바이오마커 발굴 전략을 통해 HM97662의 약물 반응성 예측 및 적합 환자 선별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기존에는 EZH1/2 억제제의 반응성을 예측하는 바이오마커로 SWI/SNF 복합체 구성 단백질의 기능 상실 돌연변이가 사용되었으나, 예측력의 한계로 새로운 바이오마커 탐색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한미약품은 암세포 의존성 지도 공공 데이터베이스(DepMap)를 활용한 생물정보학적 분석을 통해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발굴했다. 유전자 발현 기반의 한미 바이오마커는 폐암, 난소암, 식도암 등 다양한 암종에서 HM97662의 항종양 활성 예측에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HM97662는 특정 유전자 변이를 가진 환자뿐만 아니라 특정 유전자 발현 패턴을 보이는 환자군까지 정밀하게 타겟팅할 수 있는 차세대 혁신 신약”이라며 “앞으로의 연구를 통해 HM97662의 정밀 치료 전략 개발에 중요한 근거를 확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한미약품은 오는 4월 말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HM97662를 포함한 7개 후보 물질에 대한 11건의 연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김혜연 기자
ciel@healthinnews.co.kr